2024.04.20 (Sat) KOREA Edition
전체메뉴보기

테크(기술)

비대면 시대 '분산신원인증(DID)'으로 블록체인 대중화 기회

송고시간 2020.05.22 10:22

블로코가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폐지 후 올해까지 국내서 연도별 사업과 특징을 정리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제공 : 블로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분산신원인증으로 블록체인 대중화를 이글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 블로코가 지난 2015년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폐지 후 올해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블록체인 사업과 연도별 특징을 정리한 보고서를 지난 21일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 '블록체인 한국사 톺아보기`에서는 지난 2015년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돼 블록체인이 이를 대체할 보안 솔루션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진행된 이후 사업들을 정리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 부가 서비스와 플랫폼으로서 개발된 블록체인,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 등을 소개했다. 특히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로써 주목받는 분산신원인증(DID)에 대한 내용도 언급해 주목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되면서 블록체인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블록체인에 기반한 부가 서비스와 '플랫폼'으로서의 블록체인 개발이 이어졌으며,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이 진행됐다.

2016년, 공인인증서 대체 보안 기술로 주목받은 이후, 간편 로그인이나 정보보호 등을 포함한 인증/증명 분야에 블록체인 사업이 집중됐다. 이에 선도 기업과 기관들은 블록체인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시범 적용(PoC)하기 시작했다.

2017년, 사물인터넷과 전자투표, DID 등 블록체인에 기반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이 주목 받기 시작했다. 예탁결제원이 업무 전반에 블록체인 도입을 발표하는 등 금융권 관심이 높아진 시기다. 특히, 블록체인 관련 국내 기술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TTA, 금융보안원 등이 표준화 협의회/표준화 포럼 등을 발족하는 등 정부의 블록체인 지원 계획이 기반을 다진 기간이다.

2018년, 플랫폼으로서의 블록체인에 관심이 높아졌으며, 관련 산업 지원 정책도 차차 시행되기 시작했다. 플랫폼 기술, 응용 기술, 관리 기술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표준화에 대한 관심도 더욱 높아졌던 시기다.

2019년, 블록체인 정부 지원 사업이 쏟아졌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공공선도 시범 사업과 민간 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전문기업 육성사업을 진행했으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블록체인 연구 개발 사업을 분담해 정부 지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올해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로서의 분산신원인증(DID) 부각되고 있다. DID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개인정보관리, 사용자 인증, 전자 계약 등 다양한 분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블로코 김원범 대표는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시대로 경제·산업 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블록체인이 핵심 기술로 재조명 받고 있다”며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DID는 블록체인 대중화를 이끌 핵심 서비스"라고 평가했다. 

이어 김 대표는  "온·오프라인에서 금융, 이커머스, 게임, 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매번 ID 인증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인쇄 | 권혜은 기자 jslee@bceconomy.co.kr

블록체인경제신문 댓글 토크0

* 최대 200자까지 작성가능 / 욕설등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 합니다. [운영원칙]

0/200

자동등록방지용 코드를 입력하세요!
3942

Follow 블록체인경제신문